퇴직연금DC형 운용 상품변경방법(ex. ETF 매수, 디폴트옵션) - 우리은행
보유상품 변경 (ETF 매수)
저는 퇴직연금DC형 금융기관이 우리은행입니다.
직접 우리은행(PC 웹사이트)에서 진행한 것을 포스팅 합니다.
모바일앱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 같습니다.
우선 보유한 상품을 매도 한 후 다른 상품을 매수 해야 합니다.
(1)
우리은행 사이트에 접속하여 로그인 하고 퇴직연금 - 보유상품변경에 들어갑니다.
(2)
보유삼품변경 페이지 입니다.
보유상품변경(즉시), 보유상품변경(만기), DLB/ELB(예약)매수 3개의 탭이 보입니다.
(3)
보유상품변경(만기) 탭을 클릭하여 조회를 눌러 봅니다.
(4)
보유상품변경(만기)에서는 30일 이내 만기 되는 상품을 볼 수 있습니다.
곧 만기 될 상품이 있는지 확인 해 보세요.
저는 곧 만기 될 상품이 있는 것을 확인하고 조회 된 상품은 만기일까지 우선 매도하지 않을 생각입니다.
팝업창을 닫아 줍니다.
(5)
보유상품변경(즉시) 탭으로 가서 위험자산매수가능금액조회를 클릭합니다.
아래 사진에 보면 총적립금액과 매수가능금액을 볼 수 있습니다.
위험자산매수가능금액은 총적립금액의 70% 입니다.
위험자산 70%까지, 안전자산은 나머지 비율로 가능합니다. 확인하고 팝업창을 닫습니다.
(6)
보유상품변경(즉시) 탭에서 조회를 클릭합니다.
보유상품 중 매도 할 상품을 체크 후 선택합니다.
(7)
선택한 상품들이 보이고 매도방법(전액, 일부, 지정)을 선택 할 수 있어요.
저는 아까 곧 만기 되는 상품이 있었고 매도를 하지 않을 생각이기 때문에 정기예금 상품은 매도방법을 지정으로 선택하였고 현금성자산은 얼마 되지 않고 전액으로 선택 하였어요.
지정을 선택하면 매도명세 팝업창이 열려요.
(8)
매도명세 창에서 곧 만기 되는 상품을 제외하고 나머지를 선택했어요.
전 만기가 도래하는 상품을 제외하니 매도하는 상품의 합계 금액이 총금액의 70%를 넘지 않았습니다.
전부 위험자산을 매수 해도 되는 상황입니다.
(9)
매도 할 상품 선택을 완료 했어요. 다음은 매수 상품을 선택 할 차례입니다.
위험자산매수가능금액 조회를 했던 금액과 매수한 금액을 확인 해 보세요.
70%까지만 가능하니 나머지는 안전자산 상품을 매수 해야합니다.
(10)
매수 상품선택에서 상품추가를 클릭 하세요.
여기서 상품을 선택해서 매수 하시면 되요.
상품조회 팝업창에는 로보(AI)포토폴리오, 펀드/ETF, 원리금보장(안전자산), 사전지정(디폴트옵션)상품, MY운용상품보기가 보입니다.
디폴트옵션(사전지정제도)은 운용상품 만기 시 별도의 운용지시를 하지 않아도 사전 지정된 방법으로 운용이 됩니다.
강제는 아닙니다. 금융기관이 운용을 한다고 보면 됩니다.
어떻게 운용해야 할지 모를 때 금융기관에서 만들어 둔 포트폴리오 중에 지정한 운용방법으로 금융기관이 운용을 합니다. 마음에 드는 것이 없다면 직접 운용 하시면 됩니다. 안하셔도 되구요.
원리금보장은 안전자산
(11)
위험자산을 매수 하기 전에 투자성향분석을 해야합니다.
홈페이지 퇴직연금 - 투자성향분석에서 하셔도 되고 매도상품선택창에서 펀드/ETF 탭을 선택하고 아래 투자성향분석바로가기를 클릭하여 진행해도 됩니다.
투자성향은 공격투자형으로 되도록 설문하셔야 위험자산 매수 가능한 상품폭이 넓어집니다.
투자성향은 공격투자형이 되도록 설문진행합니다.
(12)
디폴트옵션 중에 고르셔도 되고 직접 운용하려면 자신이 매수 할 상품들을 검색하여 선택하여 주세요.
저는 우선 매수 할 ETF 2개의 위험성자산 상품을 선택하였습니다. (안전자산 선택 안함 - 매도하지 않은 안전자산 상품이 총금액의 30%를 넘는 상태)
저는 매수가능한 금액 70%를 넘지 않아 두 상품 비율을 합쳐서 100%입니다.
아래 상기 주의사항 체크 후 등록을 클릭합니다.
(13)
매수상품의 관련 설명서 및 약관을 다운로드 해 줍니다.
확인 체크을 하고 확인을 누르면 완료 됩니다.
상품교체 신청이 완료 되었습니다.
퇴직연금DC형 보유상품변경내역 조회/취소
보유상품변경내역 조회/취소 DC형 보유상품변경 신청을 완료 하셨다면 홈페이지 퇴직연금 - 보유상품변경내역 조회/취소에 들어가서 진행 상황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 조회하여 확인 합니다. ET
ng-insight.tistory.com
퇴직연금 DC(확정기여형, Defined Contribution)이란?
퇴직연금 확정기여형(DC, Defined Contribution) 퇴직연금 DC형은 회사가 부담해야 할 부담금(연간 임금총액 1/12이상)이 사전에 확정되는 제도 입니다. 회사가 매년 근로자의 부담금을 근로자 퇴직연금
ng-insight.tistory.com
'지식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건축 용어) 건폐율, 용적률이란? 지자체 조례 확인 (0) | 2024.04.18 |
---|---|
국민건강보험료 환급금 조회하기 (0) | 2024.04.16 |
퇴직연금DC형 보유상품변경내역 조회/취소 (0) | 2024.04.13 |
퇴직연금 DC(확정기여형, Defined Contribution)이란? (0) | 2024.04.13 |
댓글